'사회적 기업'에 해당되는 글 7건
- 2009.09.06 행복나눔 외식경영 아카데미(2기) 둘째주 강의정리
- 2009.09.06 행복나눔 외식경영 아카데미(2기) 워크샵 3번째 강의 - 외식산업과 지역먹을거리체계(로컬푸드)
- 2009.09.03 행복나눔 외식경영 아카데미(2기) 워크샵 2번째 강의 - 사회적 기업 가치창출전략 및 성과관리 (2)
- 2009.09.02 날고싶은 그녀... 날개 베이커리 김지선 (4)
- 2009.09.02 행복나눔 외식경영 아카데미(2기) 워크샵 첫번째 강의 - 외식산업 이해
- 2009.08.28 제2기 행복나눔 외식경영아카데미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 2009.05.08 블루스웨터 - 현장과 소통 그리고 도전에 대한 이야기 (3)
댓글을 달아 주세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
타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연번 | 교육일시 | 강의 제목 및 내용 | 시간 | 운영 방식 |
1 | 8/28(금) 13:00~15:00 | 사회적기업의 이해와 현황 | 2 | 워크샵 |
2 | 8/28(금) 15시~17시 | 사회적기업의 가치창출전략 및 성과관리 | 2 | 워크샵 |
3 | 8/28(금) 18시~20시 | HACCO의 이해 - 외식분야 위생의 중요성 | 2 | 워크샵 |
4 | 8/29(토) 09시~11시 | 외식산업분야와 로컬푸드 | 2 | 워크샵 |
5 | 9/4(금) 09시~12시 | 외식산업의 이해 | 3 | 강의 |
6 | 9/4(금) 13시~15시 | 외식산업의 사회적기업의 성공사례(현장중심) - 현장의 이야기 | 2 | 강의 |
7 | 9/4(금) 15시~17시 | 외식산업의 트렌드 및 시장분석 | 2 | 강의 |
8 | 9/11(금) 10시~18시 | 사회적기업의 전략적 경영 - 경영의 이해및 경영전략 - 전략적경영의 필요성 - LMS 시뮬레이션 (실습) | 8 | 강의 |
9 | 9/18(금) 10시~18시 | 혁신적 품질경영 - 사회적기업과 6시그마 - 사회적기업에서의 품질관리 - 표준프로세스 맵작성 (실습) | 8 | 강의 실습 |
10 | 9/25(금) 10시~18시 | 창의적 마케팅전략 - 고객만족 영업전략 - 실무중심 마케팅전략 - 블루오션과 신사업개발 (실습) | 8 | 강의 실습 |
11 | 10/9(금) 10시~18시 | 효율적 회계관리 - 원가관리 - 손익관리 - P&L의 이해와 손익계산서 작성 (실습) | 8 | 강의 실습 |
12 | 10/16(금) 10시~18시 | 실천적 성과관리 - 인사관리 (HRM, HRD) - 성과관리 (MBO, BSC) - 실천계획 수립 (실습) | 8 | 강의 실습 |
13 | 10/21(수) ~ 10/24(토) | 해외연수 국가 : 일본 목적 : 선진외식산업 동향 파악 인원 : 수강생 전원 | 8 | 해외 연수 |
15 | 10/30(금) 14시~19시 | 수료세미나 | ||
사회적기업의 혁신전략 | 2 | 특강 | ||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쉽 | 2 | 특강 | ||
수료식 | 1 | 수료식 | ||
총시수 | 6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블루 스웨터
먼저 난 이 책을 내 아이들에게 꼭 읽히고 싶다. 내 아이들의 자신들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이 책이 한 부분을 차지했으면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리뷰를 써야 한다는 사실이 고통스럽다.
사회적 기업을 꿈꾸면서 준비해나가고 있는 나에게 이 책은 내가 애써 외면하고 있던 계급모순에 대한 생각을 책 읽는 내내 하게 만들었다.
사실 이 리뷰는 어제까지 쓰기로 위드블로그와 약속했다. 몇 번이고 리뷰를 쓰려고 노트북 앞에 앉았지만 쓸 수가 없었다.
내 생각의 일부만 적어보려 한다. 내가 애써 외면하던 부분은 오늘도 뺀채로…
블루스웨터는 재클린 노보그라츠가 세상을 변화시켜보리라는 꿈을 실천해나가는 과정을 그린 책이다. 1987년 르완다의 수도 키갈리에서 빈민은행 두테림베레를 설립하고 르완다의 미혼모들과 블루베이커리를 일구면서 “사업은 무의미한 존재가 되기 십상인 사람들에게 더 큰 자립심과 자부심을 갖게 해줄 수 있는 해결들에 규율과 엄정함을 부여해주는 강력한 방법”이란 생각을 도출해낸 저자는 끝내 어큐먼펀드를 설립하여 제3세계의 수 많은 기업과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노보그라츠는 이 책을 통해 현장과 소통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수많은 마케팅 전문가들이, 전문경영인들이 그토록 중요하다고 떠드는 현장과 소통은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도 그 중요성을 침이 마르도록 애기하는걸 보면 이 두 단어는 무엇을 하든 핵심이라 생각된다. 내 아이들에게 이 책을 꼭 읽히고 싶은 이유 또한 이 두 단어 때문이다.
한국에는 이미 200개가 넘는 사회적 기업들이 있고 또, 사회적 기업을 준비하는 수백개의 예비 사회적 기업들과 프로그램이 있다. 이곳에서 열심히 뛰고 있는 분들에겐 그리 다가오지 않을 책 같다주1 하지만 자녀가 중고등학생이라면 권해주었으면 한다. 또 대학생이라면 꼭 읽었으면 한다. 물론 정치경제학도 같이 봤으면 한다. 자원봉사 조차 프로필을 위해 떠나게 만드는 대한민국 풍토에서 수단과 목적이 혼동되지 않고 젊은 세대들의 도전에 이 책이 한줄기 빛이 되리라 생각한다.
-------------------------------------------------------------------------------------------------------------------------------
주1이분들은 이미 시장과 열심히 싸우고 계시는 분들이다. 현실적인 내용이 필요한 분들이라 생각들어서이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